분류 전체보기 110

#미디어시장 재편과 예고된 비극 #지상파의 몰락 #주저리주저리

[원문] 미디어시장 재편과 예고된 비극 글: 강정수 미디어시장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도 미디어업계의 흐름이 어느정도 바뀌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2017년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서 발표한 '2017 방송통신광고비 조사'를 살펴보면 온라인광고는 4조4212억 원으로 방송광고(4조1417억 원)를 뛰어넘었다. 광고주들은 이미 시장의 흐름이 레거시(지상파를 비롯해 케이블, 위성 등)에서 모바일을 필두로 한 온라인이란 사실을 알고있다. 근래에 응답하라 시리즈와 꽃보다 할배 등 tvN을 비롯해 종편 방송사가 강세를 드러내고 있지만 이미 우리의 삶속에는 수많은 미디어 플랫폼이 자리잡기 시작하고 있다. 유튜브는 전연령층에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또 넷플릭스는 개인화서비스라는 강점을..

IT 2020.07.13

무선종사자

무선종사자 무선설비를 조작하거나 설치공사를 하는 자로서 전파법 제70조 제2항에 따라 기술자격증을 발급받은 자를 의미 방송국의 개설과정에 무선종사자는 선임되어야 한다. 그럼 어떤 사람이 무선종사자일까? (무선종사자 자격) 현행 무선종사자의 자격은 17개 종목으로 세분되며 전파전자통신급(3종), 무선설비(3종), 방송통신(3종), 아마추어(4종), 무선통신사(4종)로 구분된다. 각각의 자격증에 대하여 운용할 수 있는 무선국의 종사범위가 다르니 알아둘 필요는 있다. 전반적으로 기사-산업기사-기능사 순으로 그 범위는 축소된다고 생각하면 쉽다. 자세한 내용은 전파법 시행령 제 115조, [별표17] 을 참고하자. 방송국의 자격,정원 배치기준 방송국에 배치 가능한 자격은 1. 무선설비기사 2. 무선설비산업기사 3..

IT 2020.07.13

무선국 업무 및 종류

머리말 전기전자공학을 전공하면서 전자기학, 전자회로, 컴퓨터네트워크 등 다양한 전공분야를 접했지만 유일하게 강의를 듣지도 관심을 갖지도 않았던 분야가 있다면 바로 통신, 그것도 지상파를 이용한 Radio Frequency의 영역이다. 그런데 방송국에서 맡는 첫 부서가 바로 송신과 관련된 곳이라니.. 사실 네트워크 유망주라는 생각으로 시작했는데 IP 네트워크가 아니고 RF네트워크였나보다. "무선국(無線局)"이란 무선설비와 무선설비를 조작하는 자의 총체를 말한다. 전파법 제2조 6항 송신업무를 맡으면서 많은 단어들을 접하게 되었다. 방송국, 육상이동국, 시설자, 지구국, 자영망 등등, 그 안에서도 가장 많이보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무선국'이다. 조문에 나와 있듯 향후 앞으로 소개할 수 많은 무선설비들의 ..

IT 2020.07.13

[방송기술]SMPTE ST2022-6 & ST2110

요즘 뉴스를 보면 4K UHD TV를 넘어 8K TV까지 나오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이처럼 우리는 이미 UHD의 시대에 살고 있으며 그와 관련된 HDR, BT.2020등 새로운 기술들을 조용히 경험하고 있지요. 기술의 진보는 소비자에게도 다가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방송국 내부의 프로덕션 워크플로우 역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네트워크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이미 통신업계에서는 NFV, SDN등 하드웨어 중심이 아닌 소프트웨어 중심의 통일된 프로토콜(OpenFlow)를 가지고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방송기술분야에서도 현재 큰 화두가 되고 있는 것이 바로 SDI에서 IP로의 전환입니다. 1989년에 표준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SDI 방식의 영상전달표준은 SD부터 UHD까지 광범위한 사용성을 ..

IT 2018.09.06

[표준알아보기]SD카드 알아보기

SD카드(Secure Digital) 우리가 흔히 SD카드라고 부르며 스마트폰, DSLR, 전자기기에 사용하는 메모리카드는 1999년 개발됐습니다. SanDisk, Panasonic, Toshiba 등이 공동으로 개발한 표준으로 현재 전자업계의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2000년 1월 비영리 단체인 SD카드 협회(SDA)를 결성합니다. 작은사이즈에 고용량, 빠른 속도와 저전력 그리고 확장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로 SD카드의 특징입니다. SD카드의 크기 1. 일반 SD 카드 2. 미니 SD 카드 - 현재는 단종되어서 나오지 않는다! 3. 마이크로 SD 카드 - 스마트폰처럼 소형화 전자기기에 많이 사용된다. 포맷과 파일시스템에 의한 분류 : SDSC, SDHC, SDXC 왼쪽 SD카드를 보면 64GB ..

IT 2018.07.30

강화 작은 영화관

강화도 유일의 영화관 '강화작은영화관'을 방문했다.생각보다 퀄리티 좋은 영화관 시설에 놀랐고, 목요일 점심에도 많은 사람이 찾아서 영화를 관람하는 것에 또 놀랐다.영화 표는 무려 6,000원에 불과했기 때문에 아주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곳이다.뿐만아니라 팝콘을 비롯해 음료들도 저렴하기 때문에 강화에서 가볍게 시간을 보내기 아주 좋은 곳이었다. &a7a

Photography 2018.07.28
반응형